티스토리 뷰

목차



    사역동사는 다른 사람이나 사물 즉  목적어가 어떠한 행동을 하도록 시킬 때 사용합니다.  5형식 문장에 사용하고  대표적인 사역동사 make, have, let 이 있습니다. 사역동사와  5 형식 문형, 목적보어 형태에 대해 알아보고 사역동사와  자주 사용하는 get, help 동사와 지각동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역동사 make, have, let

    make 만들다, have 가지다, let 하게하다 의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다음처럼 5형식 문장에서 목적어와 목적보어가 필요한 형태인 경우에는
    목적어(사람 또는 사물)가 목적보어(동사, 준동사, 명사, 형용사 ) 하게 하다의 의미를 나타냅니다 .
     

    사역동사 make, have, let
    사역동사 make, have, let

     
    make, have, let 은 모두 하게 하다, 시키다의 의미가 있지만  make> have>let의 뉘앙스(분위기) 차이가 있습니다.
    make는 강제의 느낌이 있고, have는 지시하거나 의뢰하는 뉘앙스입니다. let은 허락의 의미가 있습니다.

    사역동사, 5형식 문형, 목적보어 형태 알아보기

    make 

    • He made me a doctor.

    주어 +동사+ 목적어(사람) +목적보어(명사)
    그는 나를 의사로 만들었다.(그는 내가 의사가 되게 했다.)
     

    • He made me happy.

    주어 +동사+ 목적어(사람) + 목적보어 (형용사)
    그는 나를 행복하게 해 주었다.
     

    • He made me wash the dishes.

    주어+ 동사 +목적어(사람) +목적보어 (동사원형/ 원형부정사)
    그가 나에게 설거지를 하라고 시켰다.
     

    • He made the dishes washed.

    주어+ 동사 +목적어(사물) +목적보어 (과거분사/ p.p)
    그는 그릇이 씻겨지도록 했다. (설거지가 되게 했다.)
     
    설명 :  목적어와 목적보어의 관계가 목적어가 스스로 동작을 할 수 없는 수동의 상태(뜻)이므로 목적보어 자리에 과거분사를 사용합니다. 
     

    사역동사, 5형식 문형, 목적보어 형태 알아보기

     have 

    • He had me wash the car.

    주어 +동사+ 목적어(사람) +목적보어(원형부정사)
    그는 나에게 새 차를 하라고 했다.
     

    • He had his car repaired.

    주어 +동사 +목적어(사물) +목적보어(과거분사/p.p)
    그는 그의 자동차가 고쳐지도록 했다.
    설명 :  목적어인 사물이 스스로 동작을 할 수 없으므로 수동의 상태(뜻)를 나타내는 과거분사를 써야 합니다. 
     

    let

    • The teacher let us go home.

    주어 동사 목적어(사람) 목적보어
    선생님이 우리가(우리를, 우리에게) 집에 가도록 했다.(허락하셨다)
     

    • = The teacher allowed  us to go home.

    설명 :let은 허락의 의미로 allow와 같은 의미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선생님이 우리에게 집에 가도록 허락하셨다. 
     
    참고 : 5 형식에서 문장의 주어는 하나, 동사도 하나이지만 뜻을 해석해 보면(의미상) 목적어와 목적보어의 관계도 목적어가 목적보어 하는 형태가 되므로  [주어가 목적어가 목적보어 하도록 했다]의 형식에 맞추면 해석하기가 쉽고 문장의 모양이 눈에 보이게 됩니다. 
    목적어도 주어처럼 해석하도록 연습하는 것이 좋습니다. 
     

     준사역동사 help, get

     

     

     
    준사역동 사는 시키다의 의미보다는 목적보어 자리에 동사의 형태 때문에 사역동사와 비슷한 문법적 위치에 있어 붙은 말입니다. 준하다는 말은 "본보기에 비추어 그대로 따른다"는 사전상의 의미가 있는데 사역동사에 따른다의 의미로 준사역동사라고 합니다. 

    help 

    • Jisu helped me report the science project.

    주어 + 동사 + 목적어 + 목적보어 [동사원형 : 원형 부정사 (the science project는 report의 목적어)]
     
     

    • Jisu helped me to report the science project. 

    주어 + 동사 + 목적어 + 목적보어  [to 부정사 (the science project 는 report 의 목적어)]
     
     

    • Jisu helped(생략) report the science project.

    주어 + 동사 + (목적어생략가능) + 목적보어 [동사원형 : 원형 부정사 (the science project 는 report 의 목적어)]
    지수는 내가 과학 프로젝트 보고서 작성하는 것을 도와주었다.
     

    get

    • I got my son to do exercise.

    주어 + 동사 + 목적어(my son) + 목적보어 (to 부정사)
    나는 나의 아들에게 운동을 하라고 했다.
     

    사역동사, 5형식 문형, 목적보어 형태 알아보기

    지각동사 see, hear, feel, watch

    • Mike felt something thouch his back.

    주어 + 지각동사 + 목적어(사물) + 목적보어 (동사원형)
    마이크는 무언가가 그의 등을 건드리는 것을 느꼈다. 
     

    • Do you hear the bird sing on the tree?

    (의문문) 주어 +동사원형 + 목적어 + 목적보어 (원형부정사)
    너는 새가 나무 위에서 지저귀는 소리가 들리니?
     

    • Do you hear the bird singing on the tree?

    (의문문) 주어 + 동사원형 +목적어 +목적보어 (현재분사)
    너는 새가 나무위에서 지저귀고 있는 소리가 들리니?
     
     

    • I heard my name called.

    주어 + 지각동사 + 목적어 +  목적보어 (과거분사)
    나는 내 이름이 불려지는 것을 들었다. (수동의 해석은 영어식 해석입니다. 나는 내 이름을 부르는 것을 들었다. 가 우리말식 표현입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수동으로 그대로 해석했습니다.)
     
     

    목적보어로 to 부정사를 가지는 동사

    주어

    allow허락하다

    목적어 목적보어 (to 동사원형)

    ask 요청하다, 묻다

    cause원인이 되다

    encourage용기를 북돋우다

    force강제로 시키다

    get 하게 하다

    order명령하다

    tell말하다

    want 원하다

     

    참고 

     

     

     

    1) 해석

    5 형식에서 문장의 주어는 하나, 동사도 하나이지만 뜻을 해석해 보면(의미상) 목적어와 목적보어의 관계도 목적어가 목적보어 하는 형태가 되므로  [주어가 목적어가 목적보어 하도록 했다]의 형식에 맞추면 해석하기가 쉽고 문장의 모양이 눈에 보이게 됩니다. 목적어도 주어처럼 해석하도록 연습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준동사란

    준동사는 동사가 문장 안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부사 자리에 필요한 경우에 동명사, to 부정사, 현재분사, 과거분사의 형태로 문장 내에 필요한 자리에 사용하는 동사의 종류를 말합니다. 
    따라서 목적보어의 형태에 동사원형은 to를 생략한 원형부정사, to 부정사, 현재분사, 과거분사의 형태를 사용합니다. 
     
     

    사역동사, 5형식 문형, 목적보어 형태 알아보기
    사역동사, 5형식 문형, 목적보어 형태 알아보기

     
    지금까지 정리한 동사는 5 형식에 사용했을 경우의 해석과 문법적 설명입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5형식에 이외에도 많은 동사를 쓸 수 있지만, 위의 동사형태를 잘 익히시면 자주 나오는 문형을 익힐 수 있습니다.